교황 사비니아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황 사비니아노는 604년에 선출되어 606년에 사망한 교황이다. 콘스탄티노폴리스 교황 사절로 활동했으며, 교황으로 재임하는 동안 그레고리오 1세와는 다른 행보를 보였다. 로마에서 기근이 발생했을 때 곡물을 분배했지만, 전임자와 대비되는 정책으로 인해 비판을 받기도 했다. 종을 시간경에 치는 관습과 성찬례를 거행하는 관습을 도입했다는 주장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530년 출생 - 탈리에신
탈리에신은 6세기 웨일스의 음유시인으로 여러 왕을 섬기며 시를 남겼고, 후대에 신화적 영웅으로 묘사되며 아더왕 전설과도 연관되어 다양한 작품에 등장한다. - 530년 출생 - 소대춘
소대춘은 남조 양나라의 인물로, 학문에 힘썼으며 여러 관직을 거쳐 후경의 난 때 살해된 인물이다. - 606년 사망 - 리펏뜨
리펏뜨는 6세기 초 베트남에서 리비 사후 부중의 수령이 되어 후리남제로 불렸으나, 진패선과의 전투에서 패배와 항복, 숙부 조광복과의 대립, 수나라 침공 후 처형 등 굴곡진 삶을 살았으며 베트남 독립 투쟁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606년 사망 - 승찬 (승려)
승찬은 선종의 제3조로 추앙받으며, 혜가에게 법을 전수받고 은둔 생활을 하다가 도신에게 법을 전하고 입적했으며, 당나라 현종으로부터 시호를 받았다. - 비테르보도 출신 - 마르쿠스 살비우스 오토
마르쿠스 살비우스 오토는 69년에 잠시 로마 황제를 지냈으며 네로의 측근이었으나 갈바를 지지하여 네로 몰락에 기여, 갈바 암살 후 황제가 되었지만 비텔리우스에게 패배 후 자살했고 그의 죽음은 내전 방지를 위한 희생으로 평가받는다. - 비테르보도 출신 - 오타비오 파르네세
오타비오 파르네세는 파르마와 피아첸차 공국의 공작으로서, 파르네세 가문의 권력 유지 및 확장, 도시 계획, 경제 개혁, 문화 예술 후원에 기여했으며, 공국의 독립을 위해 노력했다.
교황 사비니아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직함 | 교황 |
이름 | 사비니아노 |
직책 | 로마 주교 |
재임 시작 | 604년 9월 13일 |
재임 종료 | 606년 2월 22일 |
이전 교황 | 그레고리오 1세 |
다음 교황 | 보니파시오 3세 |
출생일 | 기원후 530년경 |
출생지 | 동로마 제국, 블레라 |
사망일 | 606년 2월 22일 |
사망지 | 동로마 제국, 로마 |
이전 직책 | 로마 가톨릭교회의 추기경 부제 (590년 10월 15일 - 604년 9월 13일) |
2. 콘스탄티노폴리스 교황 사절
사비니아노는 비테르보 인근 블레라(비에다)에서 태어났다. 교황 그레고리오 1세는 그를 높이 평가하여 콘스탄티노폴리스 황실에 ''아포크리시아리우스''로 파견하였다.[1] 595년, 그레고리오 1세는 사비니아노가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요한 4세의 "세계 총대주교" 칭호 사용에 대해 황제 마우리키우스와 논의하는 데 있어 결단력이 부족하다고 판단하여 분노하였다. 사비니아노는 그해 소환되어 갈리아로 파견되었으며,[1] 597년에 로마로 돌아왔다.[2]
사비니아노는 604년 3월 경에 그레고리오 1세의 후임으로 선출되었지만, 9월에 황제의 비준을 기다린 후에야 서임되었다.[1] 그의 교황 재위 기간 동안 사비니아노는 그레고리오 1세와 대조되는 인물로 여겨졌다. 교황 연대기(Liber pontificalis)는 그레고리오가 수도승으로 성직을 채우는 경향이 있었던 것과는 대조적으로, 그를 "교회를 성직자로 채운" 인물로 칭찬했다.[2][1]
사비니아노는 경제 정책으로 인기를 얻지 못했지만,[3] ''교황 연대기(Liber pontificalis)''는 그의 교황 재위 기간 동안 로마에 기근이 발생했을 때 곡물을 분배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레고리오는 침략이 임박했을 때 로마 시민들에게 곡물을 분배했고, 위험이 지나가자 사비니아노는 그들에게 곡물을 판매했다. 백성들에게 곡물을 거의 또는 전혀 제공하지 않았기 때문에, 나중에는 그의 전임자가 그의 탐욕을 벌한다는 내용의 많은 전설이 생겨났다.[4]
사비니아노는 경제 정책 실패로 인기를 얻지 못했지만,[3] ''교황 연대기(Liber pontificalis)''는 그의 교황 재위 기간 동안 로마에 기근이 발생했을 때 곡물을 분배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레고리오 1세는 침략이 임박했을 때 로마 시민들에게 곡물을 분배했으나, 사비니아노는 위험이 지나간 후 곡물을 판매했다. 백성들에게 곡물을 거의 제공하지 않았기 때문에, 훗날 그의 전임자가 탐욕스러운 사비니아노를 벌했다는 전설이 생겨났다. 사비니아노는 606년 2월 22일에 사망했으며, 장례 행렬은 적대적인 로마인들을 피해 경로를 변경해야 했다.[4]
[1]
서적
A Dictionary of Popes: From Peter to Pius XII
3. 교황 선출과 재임
사비니아노는 때 아닌 경제 정책으로 인기를 얻지 못했지만,[3] 교황 연대기(Liber pontificalis)는 그의 교황 재위 기간 동안 로마에서 기근이 발생했을 때 곡물을 분배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레고리오는 침략이 임박했을 때 로마 시민들에게 곡물을 분배했고, 위험이 지나가자 사비니아노는 그들에게 곡물을 판매했다. 백성들에게 곡물을 거의 또는 전혀 제공하지 않았기 때문에, 나중에는 그의 전임자가 그의 탐욕을 벌하는 내용의 많은 전설이 생겨났다. 사비니아노는 606년 2월 22일에 사망했다. 그의 장례 행렬은 적대적인 로마인들을 피하기 위해 경로를 변경해야 했다.[4]
오노프리오 판비니오는 1557년 저서 ''로마 교황 요약(Epitome pontificum Romanorum)''에서 사비니아노가 종을 시간경에 치는 관습과 성찬례를 거행하는 관습을 도입했다고 주장했다.[3] 이는 "시(o'clock)"(clocca|클로카la: 종)와 같은 표현의 기원이 되었다. 이러한 주장은 기욤 뒤랑의 13세기 저서 ''신성한 직무의 합리적인 설명(Rationale Divinorum Officiorum)''에 처음 등장했다.[2]
4. 기근 시기 곡물 정책 논란
5. 사망과 평가
오노프리오 판비니오는 1557년 저서 ''로마 교황 요약(Epitome pontificum Romanorum)''에서 사비니아노가 종을 시간경에 치는 관습과 성찬례를 거행하는 관습을 도입했다고 주장했다.[3] 이는 "시(o'clock)"(라틴어 clocca: 종)와 같은 표현의 기원이 되었다. 이러한 주장은 기욤 뒤랑의 13세기 저서 ''신성한 직무의 합리적인 설명(Rationale Divinorum Officiorum)''에 처음 등장했다.[2]
참조
[2]
간행물
Pope Sabinianus
[3]
간행물
Sabinianus
[4]
웹사이트
The 65th Pope
http://www.spiritual[...]
Diocese of Bridgeport
[5]
웹사이트
Pope Sabinianus
https://en.wikisourc[...]
Catholic Encyclopedia. New York: Robert Appleton Company
19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